KNUKNU생물의소재공학과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395101
생물의소재공학개론 (Fundamentals of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1
  • 교과목명 : 생물의소재공학개론 (Fundamentals of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유래 의약학소재와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을 다루는 생물의소재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전반적으로 습득한다. 주요수업내용: 약물송달학, 생체재료학, 미생물소재학, 천연물소재학 및 줄기세포학에 대한 각각의 기본 개념을 강의한다. 수업성과: 생물유래 의약학소재 및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 대한 기초 직식을 습득하여 전공과목들의 심화학습을 위한 기틀을 다질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Basic knowledge of biomaterials engineering, covering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drug delivery, biomaterials, microbial material, natural product material and stem cell.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of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rther study of major subjec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유래 의약학소재와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을 다루는 생물의소재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전반적으로 습득한다. 주요수업내용: 약물송달학, 생체재료학, 미생물소재학, 천연물소재학 및 줄기세포학에 대한 각각의 기본 개념을 강의한다. 수업성과: 생물유래 의약학소재 및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 대한 기초 직식을 습득하여 전공과목들의 심화학습을 위한 기틀을 다질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Basic knowledge of biomaterials engineering, covering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drug delivery, biomaterials, microbial material, natural product material and stem cell.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of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rther study of major subjects.

닫기
1/1학기 전선 4395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의소재공학 학생들의 전공과정의 이해 및 진로상담을 통한 학과 세부전공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진로상담을 통한 취업에 필요한 여러요소들을 미리준비할 수 있도록도움.

    • English

      Studen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majors through career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courses, and prepare them for career advancement through career counseling.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의소재공학 학생들의 전공과정의 이해 및 진로상담을 통한 학과 세부전공의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진로상담을 통한 취업에 필요한 여러요소들을 미리준비할 수 있도록도움.

  • English

    Studen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majors through career counseling and understanding of their major courses, and prepare them for career advancement through career counseling.

닫기
2/1학기 전선 4395057
미생물소재학개론 (Fundamentals of Microbial Resource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57
  • 교과목명 : 미생물소재학개론 (Fundamentals of Microbial Resource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 대사 및 유전 등 일반적인 미생물에 관한 기초지식을 중심으로 하여 농업, 식품 및 제약 등의 응용분야에의 적용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microbiology including microbial structure, function, metabolism, genetics, and methodolog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 세포의 구조와 기능, 대사 및 유전 등 일반적인 미생물에 관한 기초지식을 중심으로 하여 농업, 식품 및 제약 등의 응용분야에의 적용을 다룬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microbiology including microbial structure, function, metabolism, genetics, and methodologies.

닫기
2/1학기 전선 4395065
생화학1 (Biochemist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65
  • 교과목명 : 생화학1 (Bio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화학은 생명을 구성하는 기본개념을 물질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는 학문으로 생체대사와 생리적인 작용을 탐구하는 기초 학문이다. 특히 생명체의 중요한 구성 성분인 단배질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효소작용에 의한 물질의 변환을 다룬다. 본 과목은 생체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다양한 응용분야를 다루는데 필수적인 개념 및 지식의 함양에 그 목적이 있다.

    • English

      Biochemistry is a study that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life in terms of a material, explores bio-metabolism and physiological action. In particular, a broad understanding of protein, an important component of life, and the conversion of substances by enzymatic action are covered.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cultivate concepts and knowledge essential to dealing with various application fields by understanding the physiology of lif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화학은 생명을 구성하는 기본개념을 물질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는 학문으로 생체대사와 생리적인 작용을 탐구하는 기초 학문이다. 특히 생명체의 중요한 구성 성분인 단배질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효소작용에 의한 물질의 변환을 다룬다. 본 과목은 생체현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다양한 응용분야를 다루는데 필수적인 개념 및 지식의 함양에 그 목적이 있다.

  • English

    Biochemistry is a study that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life in terms of a material, explores bio-metabolism and physiological action. In particular, a broad understanding of protein, an important component of life, and the conversion of substances by enzymatic action are covered.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cultivate concepts and knowledge essential to dealing with various application fields by understanding the physiology of life.

닫기
2/1학기 전선 4395074
공업수학 (Engineering Mathemat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74
  • 교과목명 : 공업수학 (Engineering Mathema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경우의 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운다. 이를 통해 물리화학, 반응공학, 효소공학 등 다양한 수학적 풀이가 수반되는 심화과목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ethod of solving differential equations in various cases. Through this, they cultivat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advanced subjects that involve various mathematical solutions such as physical chemistry, reaction engineering, and enzyme engineer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경우의 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운다. 이를 통해 물리화학, 반응공학, 효소공학 등 다양한 수학적 풀이가 수반되는 심화과목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배양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the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method of solving differential equations in various cases. Through this, they cultivate basic knowledge necessary for advanced subjects that involve various mathematical solutions such as physical chemistry, reaction engineering, and enzyme engineering.

닫기
2/1학기 전선 4395082
유기화학1 (Organic Chemistry 1)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2
  • 교과목명 : 유기화학1 (Organic Chemistry 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본적 유기화학 메카니즘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합성 및 생명공학과의 연계성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화학에서의 기본적인 메카니즘 이해 유기화합물의 특성이해

    • English

      This course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nature of carbon in organic compounds. It presents general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related to structure, stereochemistry, nomenclature, synthesis, uses, and reactions of alcohols, ethers and aliphatic hydrocarbons; Alkanes, alkynes, alkenes, Cycloalkan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본적 유기화학 메카니즘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합성 및 생명공학과의 연계성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화학에서의 기본적인 메카니즘 이해 유기화합물의 특성이해

  • English

    This course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nature of carbon in organic compounds. It presents general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related to structure, stereochemistry, nomenclature, synthesis, uses, and reactions of alcohols, ethers and aliphatic hydrocarbons; Alkanes, alkynes, alkenes, Cycloalkanes.

닫기
2/1학기 전선 4395084
기능성생체소재학 (Functional Medicinal Biomaterial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4
  • 교과목명 : 기능성생체소재학 (Functional Medicinal Biomateria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능성 소재(생물의소재)란 무엇이고,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소재를 포함해서,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의 개발역사, 개발 방법 등을 소개한다. 또한 이들 사례를 통해, 산업적으로 제품화연구 및 실용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관한 방법적 접근법을 강의한다.

    • English

      What is a functional material (Biomedical material) and introduces the development history and development methods of product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date, including material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raditionally. In addition, through these cases, a methodological approach on whether industr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studies can be conducted will be taugh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능성 소재(생물의소재)란 무엇이고, 전통적으로 전해 내려오는 소재를 포함해서,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의 개발역사, 개발 방법 등을 소개한다. 또한 이들 사례를 통해, 산업적으로 제품화연구 및 실용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관한 방법적 접근법을 강의한다.

  • English

    What is a functional material (Biomedical material) and introduces the development history and development methods of product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date, including materials that have been handed down traditionally. In addition, through these cases, a methodological approach on whether industr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studies can be conducted will be taught.

닫기
2/2학기 전선 4395054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54
  • 교과목명 : 물리화학 (Physical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열역학, 물질의 phase diagram 및 화학적 평형과 화학 반응 속도론 등 물질의 변화 방향 및 속도를 결정하는 물리화학 법칙의 기본원리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This lectur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of physics and chemistry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and speed of change of materials, such as thermodynamics, phase diagram of materials, and chemical equilibrium and chemical reaction kinetic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열역학, 물질의 phase diagram 및 화학적 평형과 화학 반응 속도론 등 물질의 변화 방향 및 속도를 결정하는 물리화학 법칙의 기본원리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This lecture will cover the basic principles of physics and chemistry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and speed of change of materials, such as thermodynamics, phase diagram of materials, and chemical equilibrium and chemical reaction kinetics.

닫기
2/2학기 전선 4395060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60
  • 교과목명 :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분석기구와 기기의 취급 법을 비롯한 화학평형, 침전, 추출, 산과 염기 등에 관한 기초 이론과 정성/정량 분석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This courses offers students to studies and uses instruments and methods used to separate, identify, and quantify matter. In practice, separation, identification or quantification may constitute the entire analysis or be combined with another method. Separation isolates analytes.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s analytes, while quantitative analysis determines the numerical amount or concentr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분석기구와 기기의 취급 법을 비롯한 화학평형, 침전, 추출, 산과 염기 등에 관한 기초 이론과 정성/정량 분석에 대해 강의한다.

  • English

    This courses offers students to studies and uses instruments and methods used to separate, identify, and quantify matter. In practice, separation, identification or quantification may constitute the entire analysis or be combined with another method. Separation isolates analytes. Qualitative analysis identifies analytes, while quantitative analysis determines the numerical amount or concentration.

닫기
2/2학기 전선 4395066
생화학2 (Biochemist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66
  • 교과목명 : 생화학2 (Bio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에서는 해당과정, 산화적 인산화 등 호흡 및 식물의 광합성을 통한 세포 내 에너지 생산과 대사 과정 등 물질의 생체 내 흐름과 에너지 흐름 등, 생체 구성 물질의 생체 내 대사 과정과 대사 조절 기작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metabolic processes and their controlling mechanisms in living organisms, including glycolysis,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intracellular energy production and metabolic processes through respiration and plant photosynthe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에서는 해당과정, 산화적 인산화 등 호흡 및 식물의 광합성을 통한 세포 내 에너지 생산과 대사 과정 등 물질의 생체 내 흐름과 에너지 흐름 등, 생체 구성 물질의 생체 내 대사 과정과 대사 조절 기작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metabolic processes and their controlling mechanisms in living organisms, including glycolysis,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intracellular energy production and metabolic processes through respiration and plant photosynthesis.

닫기
2/2학기 전선 4395073
화학양론 (Chemical Stoichiometry)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73
  • 교과목명 : 화학양론 (Chemical Stoichiomet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공정개발에 필수적인 물질 수지식 및 에너지 수지식에 대해서 학습한다. 세포증식과 생성물 형성에 대한 양론의 원리를 적용하고 생물공정에 대한 에너지 수지 계산을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생물공정의 개발, 공학계산입문, 자료의 표현과 분석, 물질 수지, 에너지 수지, 그리고 비정상 상태에서의 물질과 에너지 수지식을 강의한다. 수업성과: 물질 및 에너지 수지를 세울 줄 알게 되고 이를 통해서 공정에 필요한 물질의 양 및 에너지 양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 English

      Objectives: Mass and energy balance that are essential for bioprocess development are learned. The stoichiometric principles of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 formation, and how to calculate energy balance for bioproces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is course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processes, introduction to engineering calculations, the expression and analysis of data, mass balance, energy balance, and material and energy balance equations at unsteady states.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how to set up mass and energy balances, which enable them to calculate mass and energy required for bioproces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공정개발에 필수적인 물질 수지식 및 에너지 수지식에 대해서 학습한다. 세포증식과 생성물 형성에 대한 양론의 원리를 적용하고 생물공정에 대한 에너지 수지 계산을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생물공정의 개발, 공학계산입문, 자료의 표현과 분석, 물질 수지, 에너지 수지, 그리고 비정상 상태에서의 물질과 에너지 수지식을 강의한다. 수업성과: 물질 및 에너지 수지를 세울 줄 알게 되고 이를 통해서 공정에 필요한 물질의 양 및 에너지 양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 English

    Objectives: Mass and energy balance that are essential for bioprocess development are learned. The stoichiometric principles of cell proliferation and product formation, and how to calculate energy balance for bioproces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is course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processes, introduction to engineering calculations, the expression and analysis of data, mass balance, energy balance, and material and energy balance equations at unsteady states.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how to set up mass and energy balances, which enable them to calculate mass and energy required for bioprocess.

닫기
2/2학기 전선 4395083
유기화학2 (Organic Chemistry 2)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3
  • 교과목명 : 유기화학2 (Organic Chemistr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본적 유기화학 메카니즘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합성 및 생명공학과의 연계성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화학에서의 기본적인 메카니즘 이해 유기화합물의 특성이해

    • English

      This course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nature of carbon in organic compounds. It presents general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related to structure, stereochemistry, nomenclature, synthesis, uses, and reactions of aldehyde, ketone, carboxylic acid and amines. Also, stuedents learn about strucutre determination of organic molecules and organic chemistry of carbohydrates, lipids, protei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본적 유기화학 메카니즘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합성 및 생명공학과의 연계성 이해를 통한 응용능력제고 유기화학에서의 기본적인 메카니즘 이해 유기화합물의 특성이해

  • English

    This course offer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nature of carbon in organic compounds. It presents general principles of organic chemistry related to structure, stereochemistry, nomenclature, synthesis, uses, and reactions of aldehyde, ketone, carboxylic acid and amines. Also, stuedents learn about strucutre determination of organic molecules and organic chemistry of carbohydrates, lipids, proteins.

닫기
2/2학기 전선 4395094
실험설계및분석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4
  • 교과목명 : 실험설계및분석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학 분야의 실험적 설계와 자료 및 실험결과 분석에 관련된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배우고 여러 생물실험에 있어 최적의 통계적 설계 방법의 적용과 그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과 해석 과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통계의 기본원리 및 실습을 통한 응용 방법을 배우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topics in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including fundamental statistical concepts, experimental designs, and computer-based statistical analysi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학 분야의 실험적 설계와 자료 및 실험결과 분석에 관련된 통계학적인 방법론을 배우고 여러 생물실험에 있어 최적의 통계적 설계 방법의 적용과 그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과 해석 과정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통계의 기본원리 및 실습을 통한 응용 방법을 배우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topics in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including fundamental statistical concepts, experimental designs, and computer-based statistical analysis.

닫기
3/1학기 전선 4395050
나노소재응용공학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50
  • 교과목명 : 나노소재응용공학 (Application of Nanomaterial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과 생체재료(Biomaterials)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생체재료의 종류와 물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tissue engineering and biomaterials, and study the types and properties of bio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체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과 생체재료(Biomaterials)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생체재료의 종류와 물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tissue engineering and biomaterials, and study the types and properties of biomaterials.

닫기
3/1학기 전선 4395085
나노바이오디바이스 (Nano-biodevi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5
  • 교과목명 : 나노바이오디바이스 (Nano-biodevi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의소재의 다양한 기능성을 탐색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일반 약리 및 in vitro bioassay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어떻게 실험이 진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how to explore the various functionalities of biological material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m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or pharmaceuticals. Learn the theory of general pharmacology and in vitro bioassay and how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practic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의소재의 다양한 기능성을 탐색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에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일반 약리 및 in vitro bioassay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어떻게 실험이 진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how to explore the various functionalities of biological materials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apply them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or pharmaceuticals. Learn the theory of general pharmacology and in vitro bioassay and how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practice.

닫기
3/1학기 전필 4395086
미생물생리학및실험 (Microbial Physiology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95086
  • 교과목명 : 미생물생리학및실험 (Microbial Physiology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이 갖는 생체내의 다양한 대사 및 생리현상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이해하고 물질대사와 에너지 획득과정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학문이다. 미생물의 기능, 생태, 생리, 생장 등의 기본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미생물 소재의 이용범위와 미생물의 의학적 응용 방법을 습득 및 고찰하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microbiology including microbial structure, function, and physiology. This is an introductory laboratory course in applied microbiology. In this class, the student will become familiar with the laboratory methods used in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이 갖는 생체내의 다양한 대사 및 생리현상을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이해하고 물질대사와 에너지 획득과정을 생화학적 측면에서 이해하는 학문이다. 미생물의 기능, 생태, 생리, 생장 등의 기본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험을 통해 미생물 소재의 이용범위와 미생물의 의학적 응용 방법을 습득 및 고찰하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microbiology including microbial structure, function, and physiology. This is an introductory laboratory course in applied microbiology. In this class, the student will become familiar with the laboratory methods used in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닫기
3/1학기 전선 4395089
생물약제학 (Biopharmaceut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9
  • 교과목명 : 생물약제학 (Biopharmaceu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소재를 응용하여 환부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약물 양을 최적화 함으로써,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약효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아울러 방출제어 제제에 대해서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방출제어 송달, 흡수과정 제어, 표적지향에 대한 기본개념, 흡수과정제어, 약물의 방출제어를 강의 한다. 수업성과: 생체이용률을 극대화시키는 제형의 원리에 대한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약물송달체를 통한 약물확산, 제형의 종류 및 작용원리, 그리고 약물송달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Students learn about how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drugs and maximize the efficacy by optimizing the time-dependent amount of drug at diseased sites using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ents: This course covers release-controlled delivery, absorption-controlled delivery, the basic conception of drug targeting, the control of drug absorption process, and the control of drug release.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principle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 to maximize bioavailability, the concept of drug diffusion through drug carriers, the type and acting principle of the formulation, and the concept of drug carri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생물소재를 응용하여 환부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약물 양을 최적화 함으로써, 약물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약효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아울러 방출제어 제제에 대해서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방출제어 송달, 흡수과정 제어, 표적지향에 대한 기본개념, 흡수과정제어, 약물의 방출제어를 강의 한다. 수업성과: 생체이용률을 극대화시키는 제형의 원리에 대한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약물송달체를 통한 약물확산, 제형의 종류 및 작용원리, 그리고 약물송달체에 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Students learn about how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drugs and maximize the efficacy by optimizing the time-dependent amount of drug at diseased sites using controlled- release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ents: This course covers release-controlled delivery, absorption-controlled delivery, the basic conception of drug targeting, the control of drug absorption process, and the control of drug release. Achievements: Students get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of the principle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 to maximize bioavailability, the concept of drug diffusion through drug carriers, the type and acting principle of the formulation, and the concept of drug carriers.

닫기
3/1학기 전필 4395091
생약학1및실험 (Pharmacognosy 1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95091
  • 교과목명 : 생약학1및실험 (Pharmacognosy 1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약학은 천연에 존재하는 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인간의 질병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분야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양하고자 하는 과목임

    • English

      This cousrse offers students to learn oriental medicines or crude drugs produc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microbes, and animals. It includes analysis of their biological, chemical, bi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생약학은 천연에 존재하는 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화학구조를 결정하여 인간의 질병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분야로, 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양하고자 하는 과목임

  • English

    This cousrse offers students to learn oriental medicines or crude drugs produc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microbes, and animals. It includes analysis of their biological, chemical, bi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닫기
3/1학기 전선 4395104
의용생물공정공학 (Medical Biomaterials Process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4
  • 교과목명 : 의용생물공정공학 (Medical Biomaterials Proces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용생물소재공학의 해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단위조작 지식으로 열전달, 유체역학, 물질전달, 물질분리 등에 관한 기본적 이론과 이들 공정에 수반되는 공학적 개념들의 활용을 위한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o understand fundamental theory of unit operations in bioprocessing engineering such as fluid mechanics, mass transfer, bioseparation for the applications in the fields of medical biomaterial engineering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용생물소재공학의 해석을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단위조작 지식으로 열전달, 유체역학, 물질전달, 물질분리 등에 관한 기본적 이론과 이들 공정에 수반되는 공학적 개념들의 활용을 위한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 English

    To understand fundamental theory of unit operations in bioprocessing engineering such as fluid mechanics, mass transfer, bioseparation for the applications in the fields of medical biomaterial engineerings.

닫기
3/2학기 전필 4395003
생물고분자공학 (Biopolymer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95003
  • 교과목명 : 생물고분자공학 (Biopolymer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고분자의 기본개념, 생물 고분자의 종류, 물성 및 용도, 그리고 합성고분자와 생물고분자의 생체 의학적 응용을 이해하고 익힌다. 주요수업내용: 고분자의 기본개념 및 일반적 물성을 소개하고, 다당류, 단백질, 천연고무, 핵산, 미생물 생산 고분자 등 생물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그리고 약물 송달학 및 의약학 분야에서 생물고분자의 응용에 대해서 강의한다. 수업성과: 생물고분자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생물 고분자 분류, 물성 및 의약학적 응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The basic concepts of polymers, the types, properties, and uses of biopolymers, and the biomedical applications of synthetic polymers and biopolymer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e concepts and the general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are introduc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polymers such as polysaccharides, proteins, natural rubber, nucleic acids, and microbial-originated polymers, and the application of biopolymers to drug delivery and biopharmaceutic are lectured on. Achievements: The basic concepts of biopolymers are understood and the knowledge of the classific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biopolymers are achiev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고분자의 기본개념, 생물 고분자의 종류, 물성 및 용도, 그리고 합성고분자와 생물고분자의 생체 의학적 응용을 이해하고 익힌다. 주요수업내용: 고분자의 기본개념 및 일반적 물성을 소개하고, 다당류, 단백질, 천연고무, 핵산, 미생물 생산 고분자 등 생물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 그리고 약물 송달학 및 의약학 분야에서 생물고분자의 응용에 대해서 강의한다. 수업성과: 생물고분자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생물 고분자 분류, 물성 및 의약학적 응용에 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 English

    The basic concepts of polymers, the types, properties, and uses of biopolymers, and the biomedical applications of synthetic polymers and biopolymers are learned about. Contents: The concepts and the general physical properties of polymers are introduc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polymers such as polysaccharides, proteins, natural rubber, nucleic acids, and microbial-originated polymers, and the application of biopolymers to drug delivery and biopharmaceutic are lectured on. Achievements: The basic concepts of biopolymers are understood and the knowledge of the classific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biopolymers are achieved.

닫기
3/2학기 전선 4395016
생체시스템공학 (Biosystem Enginee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16
  • 교과목명 : 생체시스템공학 (Biosystem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 재조합, 세포융합, 단백질공학, 세포배양, 생물공정 등과 같은 생물공학기술의 공업적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이의 지식들을 생물소재의 활용 및 응용을 위한 공학적 지식을 강의한다.

    • English

      To study fundamental and applied knowledge of utilizing industrial applicatons of various biotechnolgy associated with genetic engineering, cell fusion, protein engineering, cell culute engineering an bioprocess engineering concep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유전자 재조합, 세포융합, 단백질공학, 세포배양, 생물공정 등과 같은 생물공학기술의 공업적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이의 지식들을 생물소재의 활용 및 응용을 위한 공학적 지식을 강의한다.

  • English

    To study fundamental and applied knowledge of utilizing industrial applicatons of various biotechnolgy associated with genetic engineering, cell fusion, protein engineering, cell culute engineering an bioprocess engineering concepts.

닫기
3/2학기 전필 4395049
나노생체계측기기및실험 (Instrumental Analysis for Nanobiomaterials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395049
  • 교과목명 : 나노생체계측기기및실험 (Instrumental Analysis for Nanobiomaterials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소재공학전공에 필수적인 생화학적인 계측장비 및 물리화학적 규명법에 관한 이론 습득 및 실험

    • English

      Acquisition and experiment on the theory of biochemical measuring equipment and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method necessary for biomaterial engineering major

    닫기
3 2 2 상세보기
  • 국문

    생물소재공학전공에 필수적인 생화학적인 계측장비 및 물리화학적 규명법에 관한 이론 습득 및 실험

  • English

    Acquisition and experiment on the theory of biochemical measuring equipment and physicochemical identification method necessary for biomaterial engineering major

닫기
3/2학기 전선 4395087
미생물스트레스반응학 (Microbial Stress Response)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87
  • 교과목명 : 미생물스트레스반응학 (Microbial Stress Respons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온도, 물, 압력, 염도, 당도, pH, 광선, 산화환원전위 등의 여러 가지 극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방어 작용 및 상호 신호전달 체계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discuss the microbial response mechanisms under the unfavorable stress environments, including oxidants, heat, and starv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온도, 물, 압력, 염도, 당도, pH, 광선, 산화환원전위 등의 여러 가지 극한 환경 속에서 다양한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방어 작용 및 상호 신호전달 체계를 이해하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discuss the microbial response mechanisms under the unfavorable stress environments, including oxidants, heat, and starv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395090
생물약제학실험 (Biophamaceutics and Laborator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0
  • 교과목명 : 생물약제학실험 (Biophamaceutics and Laboratory)
  • 학점-강의-실습(설계) : 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지질 및 고분자 기반 약물전달체들을 제조하고 특성화하는 능력을 실험을 통해서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소포체, 나노캡슐, 고분자 자가결집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의 형성원리 및 제조방법을 강의 한다. 수업성과: 약물전달체를 제조하고 특성화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The principles on which lipids and polymer-based drug carriers are formed and how to prepare and characterize them are learned about. Contents: Preparation method of drug carriers including vesicles, nanocapsules, and polymer self-assembly and how they are formed are lecture on. Achievements: Students can achieve the ability to prepare and characterize drug carriers.

    닫기
1 0 2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지질 및 고분자 기반 약물전달체들을 제조하고 특성화하는 능력을 실험을 통해서 학습한다. 주요수업내용: 소포체, 나노캡슐, 고분자 자가결집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의 형성원리 및 제조방법을 강의 한다. 수업성과: 약물전달체를 제조하고 특성화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The principles on which lipids and polymer-based drug carriers are formed and how to prepare and characterize them are learned about. Contents: Preparation method of drug carriers including vesicles, nanocapsules, and polymer self-assembly and how they are formed are lecture on. Achievements: Students can achieve the ability to prepare and characterize drug carriers.

닫기
3/2학기 전선 4395093
세포생물공학 (Animal Cell Biotechnology)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3
  • 교과목명 : 세포생물공학 (Animal Cell Biotechn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의약품이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로써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후보 물질 도출, 세포주 개발, 배양 및 정제 공정 확립, 이화학 및 생물학적 분석법, validation 등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 전반에 대한 내용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entir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pharmaceutics. The process includes a selection of candidates, establishment of cell line, process development for large-culture and purification, analysis of protein component and in vivo efficacy and valid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의약품이 미래의 새로운 먹거리로써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후보 물질 도출, 세포주 개발, 배양 및 정제 공정 확립, 이화학 및 생물학적 분석법, validation 등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생산 전반에 대한 내용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cover the entir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pharmaceutics. The process includes a selection of candidates, establishment of cell line, process development for large-culture and purification, analysis of protein component and in vivo efficacy and valid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395100
생약학2 (Pharmacognosy 2)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0
  • 교과목명 : 생약학2 (Pharmacognosy 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약효별로 효능별로 공부하고, 식물의 형태, 생육상 특징, 약효, 약효물질, 사용법 등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후반부에는 직접 관련 논문을 찾아보고 발표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하여 토론 하는 방법등을 익힌다.

    • English

      This cousrse offers students to learn oriental medicines or crude drugs produc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microbes, and animals. It includes analysis of their biological, chemical, bi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약효별로 효능별로 공부하고, 식물의 형태, 생육상 특징, 약효, 약효물질, 사용법 등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후반부에는 직접 관련 논문을 찾아보고 발표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하여 토론 하는 방법등을 익힌다.

  • English

    This cousrse offers students to learn oriental medicines or crude drugs produc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plants, microbes, and animals. It includes analysis of their biological, chemical, bio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닫기
3/2학기 전선 4395105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5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4/1학기 전선 4395006
생체재료학 (Biomateria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06
  • 교과목명 : 생체재료학 (Biomateria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체기능을 유지, 향상, 복원하는 생체재료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이식 후 생체내부에서 생체재료의 변화, 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 평가, 조직 이식에 대한 숙주반응을 학습한다. 아울러, 생체재료의 적용대상인 인체에 대한 기초 해부학을 학습하고, 하이브리드 생체재료 제조에서 요구되는 세포와 세포, 세포와 ECM 매트릭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iomaterials that maintain, enhance, and restore biological function. After transplantation, the in vivo biomaterials application,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biomaterials, and host response to tissue transplantation are studied.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anatomy of the human body to which biomaterials are applied and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cells and cells, cells and ECM matrices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biomaterial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체기능을 유지, 향상, 복원하는 생체재료의 기본개념을 이해한다. 이식 후 생체내부에서 생체재료의 변화, 생체재료의 생체적합성 평가, 조직 이식에 대한 숙주반응을 학습한다. 아울러, 생체재료의 적용대상인 인체에 대한 기초 해부학을 학습하고, 하이브리드 생체재료 제조에서 요구되는 세포와 세포, 세포와 ECM 매트릭스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iomaterials that maintain, enhance, and restore biological function. After transplantation, the in vivo biomaterials application, evaluation of biocompatibility of biomaterials, and host response to tissue transplantation are studied. In addition,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anatomy of the human body to which biomaterials are applied and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cells and cells, cells and ECM matrices required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biomaterials.

닫기
4/1학기 전선 4395008
생체역학 (Biomechan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08
  • 교과목명 : 생체역학 (Bio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이 아닌 재조합 단백질 및 세포 등을 직접 인체에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이른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래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판매액이 높은 상위 10개 품목 중에는 항체와 같은 단백질 의약품이 6,7개 이상 포함되어 있을만큼 바이오의약품은 이미 제약 시장에서 주류를 이룬지 오래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면역세포치료제인 CAR-T 세포의 항암 효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 등이 보고되며 세포치료제 또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핵심 기반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English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called "biopharmaceuticals" that treat diseases by injecting recombinant proteins and cells directly into the human body rather than chemically synthesized componen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recently, the anti-cancer effect of CAR-T cells, an immune cell therapy agent, and clinical trial results for macular degeneration treatment us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ave been reported, and cell therapy agents have also received great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biopharmaceutical. This class is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ies of bio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will introduce the latest research tren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성분이 아닌 재조합 단백질 및 세포 등을 직접 인체에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이른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근래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판매액이 높은 상위 10개 품목 중에는 항체와 같은 단백질 의약품이 6,7개 이상 포함되어 있을만큼 바이오의약품은 이미 제약 시장에서 주류를 이룬지 오래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면역세포치료제인 CAR-T 세포의 항암 효과,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황반변성 치료에 대한 임상 시험 결과 등이 보고되며 세포치료제 또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으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의약품 개발의 핵심 기반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한편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English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called "biopharmaceuticals" that treat diseases by injecting recombinant proteins and cells directly into the human body rather than chemically synthesized component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recently, the anti-cancer effect of CAR-T cells, an immune cell therapy agent, and clinical trial results for macular degeneration treatment us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ave been reported, and cell therapy agents have also received great attention as a next-generation biopharmaceutical. This class is inten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re technologies of biopharmaceutical development and will introduce the latest research trends.

닫기
4/1학기 전선 4395012
조직공학 (Tissue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12
  • 교과목명 : 조직공학 (Tissue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조직공학의 기초를 교육 / 최신 조직공학 동향을 전문적 학술 논문을 통해 파악하여, 논문 읽기의 기초를 쌓는다. 여러가지 인공 장기 및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하고 이에 필요한 생체재료 제작 전문 기술의 첨단 동향을 배운다.

    • English

      The basics of tissue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latest tissue engineering trends are identified through professional academic papers. Students will learn the technology for regenerating various artificial organs and tissues, and learn the advanced trends in biomaterial manufacturing experti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조직공학의 기초를 교육 / 최신 조직공학 동향을 전문적 학술 논문을 통해 파악하여, 논문 읽기의 기초를 쌓는다. 여러가지 인공 장기 및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기술을 습득하고 이에 필요한 생체재료 제작 전문 기술의 첨단 동향을 배운다.

  • English

    The basics of tissue engineering education and the latest tissue engineering trends are identified through professional academic papers. Students will learn the technology for regenerating various artificial organs and tissues, and learn the advanced trends in biomaterial manufacturing expertise.

닫기
4/1학기 전선 4395044
천연물이용학 (Natural Products Utiliz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44
  • 교과목명 : 천연물이용학 (Natural Products Utiliz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약효별로 효능별로 공부하고, 식물의 형태, 생육상 특징, 약효, 약효물질, 사용법 등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후반부에는 직접 관련 논문을 찾아보고 발표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하여 토론 하는 방법등을 익힌다.

    • English

      We study medicinal plants that grow naturally in our mountain fields by medicinal efficacy, and learn more about plant form, growing characteristics, medicinal properties, medicinal substances, usage, etc. Based on these contents, they will find and present related papers in person, and learn how to discuss them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을 약효별로 효능별로 공부하고, 식물의 형태, 생육상 특징, 약효, 약효물질, 사용법 등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본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후반부에는 직접 관련 논문을 찾아보고 발표하며, 질문과 답변을 통하여 토론 하는 방법등을 익힌다.

  • English

    We study medicinal plants that grow naturally in our mountain fields by medicinal efficacy, and learn more about plant form, growing characteristics, medicinal properties, medicinal substances, usage, etc. Based on these contents, they will find and present related papers in person, and learn how to discuss them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닫기
4/1학기 전선 4395102
미생물감염학 (Microbial Pathogenesi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2
  • 교과목명 : 미생물감염학 (Microbial Pathogene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병원성 미생물의 특성과 숙주와의 상호작용 및 감염기전을 이해하고, 병원성미생물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방대책을 이해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nd the interactions of bacteria and host. The pathogenesis of infectious diseases, cell-to-cell communication, and roles of normal microflora will be discussed in this course.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미생물의 유전적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병원성 미생물의 특성과 숙주와의 상호작용 및 감염기전을 이해하고, 병원성미생물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의 진단, 치료 및 예방대책을 이해는 학문이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nd the interactions of bacteria and host. The pathogenesis of infectious diseases, cell-to-cell communication, and roles of normal microflora will be discussed in this course.

닫기
4/1학기 전선 4395103
고급생물의소재공학 (Advanced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103
  • 교과목명 : 고급생물의소재공학 (Advanced Medical Biomaterials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물유래 의약학소재와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을 다루는 생물의소재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이것의 응용방법을 이해하고 익힌다. 약물송달학, 생체재료학, 미생물소재학, 천연물소재학 및 줄기세포공학의 응용에 대해 강의함으로써 전공지식의 심화학습을 위한 기틀을 다질 수 있다.

    • English

      Understand and learn its application method based on basic knowledge of the biomaterials engineering, covering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This course covers the applications of drug delivery, biomaterials, microbial materials, natural materials, and stem cell engineering, the foundation for in-depth learning of major knowledge can be lai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물유래 의약학소재와 생체적용 의약학 소재을 다루는 생물의소재공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이것의 응용방법을 이해하고 익힌다. 약물송달학, 생체재료학, 미생물소재학, 천연물소재학 및 줄기세포공학의 응용에 대해 강의함으로써 전공지식의 심화학습을 위한 기틀을 다질 수 있다.

  • English

    Understand and learn its application method based on basic knowledge of the biomaterials engineering, covering bio-derived medicinal materials and bio-applicable medicinal materials. This course covers the applications of drug delivery, biomaterials, microbial materials, natural materials, and stem cell engineering, the foundation for in-depth learning of major knowledge can be laid.

닫기
4/2학기 전선 4395011
독성학 (Toxic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11
  • 교과목명 : 독성학 (Toxic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체재료에 대한 독성 물질의 영향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여, 학습된 독성 기작이 세포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 각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effects of toxic substances on biomaterials at the molecular level to understand how learned toxic mechanisms can be applied at the cellular and tissue levels, respectivel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체재료에 대한 독성 물질의 영향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여, 학습된 독성 기작이 세포 수준과 조직 수준에서 각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이해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effects of toxic substances on biomaterials at the molecular level to understand how learned toxic mechanisms can be applied at the cellular and tissue levels, respectively.

닫기
4/2학기 전선 4395072
현장실습 (Field and Internship Program)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72
  • 교과목명 : 현장실습 (Field and Internship Program)
  • 학점-강의-실습(설계) : 2-0-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전공 관련분야 현장에서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실습을 한다. 주요수업내용: 이론적 지식의 실무 적용, 현장 업무의 형태, 현장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소통을 강의 한다. 수업성과: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o business practice in the industries of major related field is learned about. Content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he types of field work, and communication for the efficient performance of field work are lectured on. Achievements: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oretical knowledge to practice.

    닫기
2 0 4 상세보기
  • 국문

    수업목표: 전공 관련분야 현장에서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실습을 한다. 주요수업내용: 이론적 지식의 실무 적용, 현장 업무의 형태, 현장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소통을 강의 한다. 수업성과: 이론적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English

    Objectives: The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o business practice in the industries of major related field is learned about. Content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the types of field work, and communication for the efficient performance of field work are lectured on. Achievements: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apply theoretical knowledge to practice.

닫기
4/2학기 전선 4395095
의약품분석화학 (Pharmaceutical Analysi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5
  • 교과목명 : 의약품분석화학 (Pharmaceutical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및 기기분석을 통하여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천연물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화합물들의 정성 정량적인 분석에 응용한다.

    • English

      This courses offers students the oppotunity to studies how to isolate active compounds from naatural resources through chromatography and analtytical instrument. And how to determine molecular structure of isolated natural compounds through various spectroscopy.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다양한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및 기기분석을 통하여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천연물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화합물들의 정성 정량적인 분석에 응용한다.

  • English

    This courses offers students the oppotunity to studies how to isolate active compounds from naatural resources through chromatography and analtytical instrument. And how to determine molecular structure of isolated natural compounds through various spectroscopy.

닫기
4/2학기 전선 4395098
제제공학 (Pharmaceutic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8
  • 교과목명 : 제제공학 (Pharmaceutic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 소재의 독성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방법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임상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독성 및 안전성 시험법, in vivo bioassay, 임상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어떻게 실험이 진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provide to develop the ability to learn and apply research methods on the toxicity and safety of bio-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or medicine and To learn the ability clinical evaluation methods applicable to clinicians. Students will learn about toxicity and safety assays, in vivo bioassay, clinical evaluation theory, and information on how the experiment is actually conduct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 소재의 독성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 방법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임상평가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독성 및 안전성 시험법, in vivo bioassay, 임상평가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어떻게 실험이 진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provide to develop the ability to learn and apply research methods on the toxicity and safety of bio-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or medicine and To learn the ability clinical evaluation methods applicable to clinicians. Students will learn about toxicity and safety assays, in vivo bioassay, clinical evaluation theory, and information on how the experiment is actually conducted.

닫기
4/2학기 전선 4395099
진단미생물학 (Clinical and Diagnostic Microbiology)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395099
  • 교과목명 : 진단미생물학 (Clinical and Diagnostic Microbi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감염성 질병과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취급 및 배양 방법과 임상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병원균을 감염 특성과 항생제 내성 성향에 따른 치료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provide the methodological introduction needed in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 to recover and identify bacteria and viruses from human clinical specimens. The course mainly covers microorganisms that are clinically relevant and also demonstrate the role of the clinical microbial laboratory in infected patient management.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감염성 질병과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취급 및 배양 방법과 임상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병원균을 감염 특성과 항생제 내성 성향에 따른 치료 방법을 습득한다.

  • English

    This course will provide the methodological introduction needed in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 to recover and identify bacteria and viruses from human clinical specimens. The course mainly covers microorganisms that are clinically relevant and also demonstrate the role of the clinical microbial laboratory in infected patient management.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